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Manacher
- 프로그래밍
- Expo
- AR
- Vrio
- 지도api
- 카카오지도api
- Viro
- 웹프로젝트
- 자바스크립트
- react-native
- 리액트네이티브
- 웹개발
- 웹
- react
- 벨제트
- VrioReact
- Bellzet
- ObjectNotFound
- Manacher's Algorithm
- 멍령어
- 리액트
- 랜덤음식점
- Belllzet
- API
- CommandNotFound
- Web
- 다음지도api
- javascript
- CommandNotFoundException
- Today
- Total
목록Expo (3)
개발블로그
AR을 포기한 뒤 이틀 후 다시 만났다. 서로 나름대로 생각을 해 보았는데 나는 이렇게 생각했다. 보통 프로젝트를 할때 나는 두 가지의 경우가 있다고 생각한다. 첫 번째는 번뜩이는 아이디어가 떠올라서 그 아이디어를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것들을 배워가며 개발하는 경우이다. 두 번째는 자신이 배운 어떤 언어나 기술을 써먹어봐야 겠다고 생각해 그 기술을 사용한 프로젝트를 하는 것이다. 우리는 계속 첫 번째의 방법으로 시도했도 내가 추구하는 프로젝트로 첫번째의 방법이다. 하지만 아직 우리가 실력이 많이 부족하고 생각보다 막히는 부분이 많아서 이제는 두번째 방법으로 가야 하지 않나 싶다. 그래서 일단 공부를 더 해온 뒤에 그것을 사용할 만한 아이디어를 내자는 것이 나의 결론이었다. 친구는 나와 취지는 비슷하지만 ..
거의 한 달 동안 물론 시험기간도 있었겠지만은 AR을 보며 달렸다. 리엑트도 공부해서 프로젝트 까지는 아니지만 예제들도 만들어보고 리엑트 네이티브도 어플 두 개를 expo로 만들었다. Viro를 설치해 아이폰으로 Vire Media 앱을 통해 Hello World 까지 띄우는 데에는 성공했지만, 생각치 못한 문제가 또 생겼다. Viro React를 expo를 통해 개발할 수 없다는 것이다. 또한 Viro React 는 Viro Media 를 통해서 말고는 실행할 수 없는 듯 했다. 차라리 Unity랑 C#을 배우는 것이 더 나을 뻔 했다. Expo 로도 expoTHREE로 어떻게 만들 수는 있는 듯 했지만 예제를 빌드 해보니 실행되지 않았다. Viro 사이트에서 IOS는 ARKit, Android는 AR..

이번에는 정말 열심히 해서 완성을 시켜보고자 일단 계획부터 짰다. 5/11: 계획, AR 아이디어 확실하게 5/18: React강의 다 들어오기 (+ AR kit / Viro) 5/25: 리엑트 예제 만들기 / 아이디어 구체화 6/01: React Navtive 강의 6/08: AR 구현 (Viro 알아서 공부) 6/15: 완성 6/25: 수정 어플제작 6/29: 완성본 (배포 가능한 수준) 아직까지는 잘 지켜오고 있는 것 같다. 요즘 둘 다 너무 바쁘게 보내고 있는지라 공부해오기가 조금 벅차 만나서 같이 공부하기로 했다. 리엑트 네이티브를 시작해 보려하는데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해봤을때 막힌 부분이 너무 많아서 때려 치웠던 생각이 났다. 하지만 리액트 네이티브를 시작해보니까 신세계였다. expo의 QR코..